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postgres
- 템플릿
- Flutter
- 주유
- Bloc
- 티스토리챌린지
- 개발
- 오류
- 리눅스
- VM
- 유심
- Linux
- podman
- 가상머신
- 객체지향프로그래밍
- 잡담
- 퇴근길
- 일상
- 주유소
- virtualmachine
- 인프라
- FreeBSD
- DART
- 휘발류
- 오블완
- SICP
- USIM
- VMware
- ubuntu
- 오토바이
- Today
- Total
sync86 블로그
[Linux] CentOS VLAN IP 할당하기 본문
0. 들어가면서
PC에서 자료를 보다가 오래전에 시스템 엔지니어로 일할 때 시절에 개인적으로 만들었던 문서를 발견하게 되었다. 가끔씩 필요할 때마다 작성한 문서라 두서가 없는 것이 흠이긴 하지만, 이 문서들을 보면서 분명 이대로 묵혀두면 실수로라도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를 날리면서 다 날릴 수 있을 것 같았다. 그래서 과거 오래전 내용이지만 보이는 문서는 이렇게 블로그에 남겨보기로 한다.
1. 준비
이 테스트를 하기 위해 총 3대의 VM이 필요하다. 첫번째 VM은 DHCP 서버로 각각의 VLAN(여기서는 VLAN 50과 60을 사용)에 IP를 서비스할 목적의 서버이고 나머지 VM들은 각각의 VLAN을 할당하여 DHCP 서버에서 IP를 할당 받는 서버이다. 즉 하나의 VM은 DHCP 서버이고, 나머지 두개의 VM은 DHCP 클라이언트이다.
1.1. DHCP 서버
DHCP 서버를 실행할 Virtual Machine Settings → 인터페이스 추가 (또는 인터페이스 수정) → VMnet2 (내부 네트워크)
- VMnet1은 패키지 설치를 위해서 외부 인터넷과 연결된 인터페이스
- VMnet2는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들에 IP를 할당할 용도로 사용됨 (DHCP 서비스를 제공할 용도)
1.2. DHCP 클라이언트 (VLAN 50)
DHCP 서버를 실행할 Virtual Machine Settings → 인터페이스 추가 (또는 인터페이스 수정) → VMnet2 (내부 네트워크)
- VMnet2는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DHCP 서버에서 IP를 할당 받을 용도로 사용됨
1.3. DHCP 클라이언트 (VLAN 60)
DHCP 서버를 실행할 Virtual Machine Settings → 인터페이스 추가 (또는 인터페이스 수정) → VMnet2 (내부 네트워크)
- VMnet2는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DHCP 서버에서 IP를 할당 받을 용도로 사용됨
1.4. 802.1Q 모듈 로딩
- VLAN을 사용할 모든 호스트에 802.1Q 커널 모듈을 로딩
1.5. 네트워크 구성
테스트로 구성할 DHCP 네트워크 정보
VLAN | CIDR | GATEWAY | RANGE |
50 | 10.0.50.0/24 | 10.0.50.1 (ens36.50 인터페이스 IP) |
10.0.50.10~254 |
60 | 10.0.60.0/24 | 10.0.60.1 (ens36.60 인터페이스 IP) |
10.0.60.10~254 |
- 10.0.50.1과 10.0.60.1은 모두 DHCP 서버에 장착된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
- 가상의 VLAN 인터페이스 각각 50, 60태그가 할당됨
1.6. DHCP 서버 설정 정보
1.6.1. DHCP 서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
- 서버는 필요한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와 VLAN (50과 60) 설정 정보만 남기고 나머지 설정 파일들은 삭제를 권장함
1.6.2. VLAN 인터페이스 설정 확인 (VLAN 50과 60 둘다 확인)
- # systemctl restart network.service 명령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(또는 재부팅) 후 확인 가능
1.6.3. DHCP 서버 dhcpd.conf 설정
1.7. DHCP VLAN 50 호스트 설정 정보
1.7.1.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
- 해당 호스트 서버는 해당 VLAN 설정(VLAN 50) 설정 정보만 남기고 나머지 설정 파일들은 삭제하거나 백업 후 삭제를 권장함
1.7.2. VLAN 인터페이스 설정 확인 (VLAN 50과 할당된 IP 확인)
- # systemctl restart network.service 명령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(또는 재부팅) 후 확인 가능
1.8. DHCP VLAN 60 호스트 설정 정보
1.8.1.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
- 해당 호스트 서버는 해당 VLAN 설정(VLAN 50) 설정 정보만 남기고 나머지 설정 파일들은 삭제하거나 백업 후 삭제를 권장함
1.8.2. VLAN 인터페이스 설정 확인 (VLAN 60 확인)
- # systemctl restart network.service 명령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(또는 재부팅) 후 확인 가능
2. 테스트
2.1. VLAN 50 → 60 할당 테스트
1. ifcfg-ens36.60 인터페이스 추가
아래의 이미지를 확인하면 ifcfg-ens36.50는 10.0.50.10번으로 VLAN 50에서 지정된 IP를 할당 받았다. 여기서 인터페이스를 추가하여 VLAN 60에서 할당될 수 있는 10.0.60.x의 IP가 할당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함이다.
- dhcp 서버로 IP를 할당 받게 되면 디폴트 게이트웨이가 2개의 경로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함. 따라서 이번 테스트에서는 2개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활성화 하여 테스트 진행
- 2개의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려면 두개의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static 설정으로 변경하거나, 멀티 게이트웨이 설정을 해야 함.
2. 네트워크 재시작 및 IP 할당 확인
- 네트워크 재시작을 하기 전에 이전에 할당된 VLAN 50을 삭제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음. 삭제하지 않고 그냥 진행하면, 할당된 인터페이스가 유지됨.
- 위 테스트 스크린샷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재시작 후 VLAN 60에서 할당되어야 할 IP가 정상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볼 수 있음.
'인프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reeBSD] Podman 테스트 보류! (0) | 2024.10.29 |
---|---|
[Linux] Live 마이그레이션 흉내 스크립트 (0) | 2024.10.28 |
[Linux] Live 마이그레이션 흉내! (0) | 2024.10.21 |
[FreeBSD] Podman 설치 중에 문제가... (1) | 2024.10.20 |
[FreeBSD] Podman 설치 (2) | 2024.10.19 |